흔히 만날 수 있는 야생돌물과 대처법
등산을 즐기시는 분들 요즘 많으시죠? 하지만 자연 속에서의 등산은 때때로 예상하지 못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최근 산책로에서 사슴이 출몰해 사슴뿔에 찔려 크게 다치는 사고도 일어났습니다. 오늘은 등산 시 조심해야 할 야생동물과 대처 방법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할게요.
등산 시 야생동물
등산은 자연을 만끽할 수 있고 건강을 위해서도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자연 속에 다양한 야생 동물들이 살고 있어요. 이들은 인간과 접촉을 피하려고 하지만 때로 등산객과 마주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미리 알고 안전한 등산을 즐길 수 있는지 알아볼게요.
등산 시 주의해야 할 야생동물
등산 중 주의해야 할 야생동물은 멧돼지, 뱀, 곰 등이 있습니다. 특히 멧돼지는 예기치 않게 나타날 수 있고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곰은 주로 사람을 피하지만 새끼를 보호하려는 어미 곰과 마주칠 경우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대처 방법
동물 | 특징 | 위험성 | 대처법 |
곰 | 깊은 산속, 특히 먹이가 풍부한 계곡이나 벌집 주변 활동 | 예측불가한 야생동물로 매우 위험한 상황 발생 |
침착하게 뒤로 물러나고, 등 보이지 않기
|
멧돼지 | 몸집 크고 힘이 세며, 가을철 활동 활발 |
예상치 못한 공격으로 심각한 부상 |
눈 마주치지 않고 천천히 뒷걸음질, 큰 소리로 자신 알리기, 나뭇가지 등으로 방어
|
뱀 | 풀숲이나 돌 밑에 숨어 살며, 봄부터 가을까지 활동 |
독이 있는 뱀에 물릴 경우 생명 위험 |
밝은 색 옷, 장화 착용, 풀숲 함부로 들어가지 않기
|
벌 | 벌집 건드리거나 자극하면 공격 | 벌에 쏘이면 알레르기 반응, 생명 위험 |
벌집 발견 시 자리 피하기, 침착하게 움직이기
|
진드기 | 풀숲이나 낙엽 밑에 숨어 사람이나 동물에 붙음 |
쯔쯔가무시병, 라임병 매개 |
긴 팔 옷 착용, 등산 후 몸 확인, 진드기 발견 시 병원 방문
|
안전한 산행을 위한 일반적인 지침
사전 정보 확인: 방문하려는 산의 야생동물 출몰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안전 수칙을 숙지합니다.
단독 산행 자제: 동행자와 함께 산행하고, 비상 연락망을 준비합니다.
탐방로 벗어나지 않기: 탐방로를 벗어나면 길을 잃거나 야생동물과 마주칠 위험이 높습니다.
음식물 관리: 음식물 쓰레기는 반드시 휴지통에 버리고, 냄새가 나는 음식은 가지고 다니지 않습니다.
소리 내기: 방울이나 스틱 등을 이용하여 소리를 내면 야생동물이 미리 피할 수 있습니다.
야생동물 관찰 시: 가까이 다가가지 않고 멀리서 조용히 관찰합니다.
응급처치 용품 준비: 뱀 쏘임 치료제, 밴드, 소독약 등 응급처치 용품을 준비합니다.
기타 주의사항
야생동물에게 먹이 주지 않기: 야생동물에게 먹이를 주면 사람을 해치거나 질병을 옮길 수 있습니다.
새끼 동물 만지지 않기: 새끼 동물을 발견해도 함부로 만지지 않고, 어미를 찾아주거나 관련 기관에 신고합니다.
2024.09.04 - [자연정보] - 등산 시 주의사항, 조용한 산행이 필요한 이유
등산 시 주의사항, 조용한 산행이 필요한 이유
산을 사랑하는 당신이 알아야 할 진실 등산은 자연을 즐기고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좋은 운동으로 꼽히지만, 안전을 위해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으며, 조용한 산행이 필요한 이유도 있습니다.
pudala.tistory.com
마무리
야생동물은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소중한 존재입니다. 서로를 존중하고 안전하게 공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2024.06.10 - [여행정보] - 2024년 우리나라 국립공원 23곳 알아보기
2024년 우리나라 국립공원 23곳 알아보기
우리나라의 국립공원 산마다 각각의 특징과 아름다움을 갖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자연과 문화를 대표하는 산들이 있습니다. 저는 대표적으로 설악산, 지리산, 한라산 정도만 알고 있었는데요.
pudala.tistory.com
'자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에 여행하기 좋은 전국 자연휴양림 추천 (2) | 2024.09.04 |
---|---|
등산 시 주의사항, 조용한 산행이 필요한 이유 (2) | 2024.09.04 |
집에서 키우기 쉬운 그늘에서 잘 자라는 식물 5가지! (0) | 2024.09.02 |
호우로 인한 침수 자연재난 진행별 행동 요령 알아보기 (0) | 2024.07.18 |
산사태 대비 방법 및 위험 지역 실시간 알아보기 (0) | 2024.07.16 |